● Documents for Learning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

닥터스터디 2018. 8. 14. 23:03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






안녕하세요


 




오늘은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먼저, 동영상으로 보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해

동영상 강의를 먼저 올리구요~

포스팅은 아래에서 이어가겠습니다.








<<교재 다운로드>>


210-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학생용.pdf








<<강의듣기>>

"잘 보셨다면 구독하기를 꼭 눌러주세요~"



※강의 중 RHS, RHA 표기에 실수가 있었습니다.

RHA는 직각삼각형이 빗변과 한 각이 같아야하고,

RHS는 빗변과 한 변이 같은 것입니다.

이 부분을 감안하고 동영상을 이용해주세요~^^*








용어

 “최소한 영어 첫글자의 의미는 암기해야 합니다”


R 직각

A 각

H 빗변

S 변










직각삼각형도 삼각형의 일종

 직각삼각형에 <삼각형의 합동조건> 적용이 가능하며,

지금 배우는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을 적용한다면,

 합동을 확인하는 것이 더욱 쉬워집니다.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복습합시다.

1. SSS 변변변

2. ASA 한 변과 양 끝각

3. SAS 두 변과 끼인 각

(실제로 S사이에 A가 끼어있으니 외우기 쉽죠~~)








RHA합동


두 직각삼각형이 R


빗변의 길이가 같고 h


나머지 한 각의 크기가 같은A


경우의 두 삼각형의 관계입니다.










RHS합동


두 직각삼각형이 R


빗변의 길이가 같고 h


나머지 한 변의 길이가 같은S


경우의 두 삼각형의 관계입니다.








합동의 활용


1단계. 두 도형이 합동임을 밝힙니다.


2단계. 밝혀지면, 두 도형의 대응변의 길이와

대응각의 크기가 같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두 개 이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삼각형의 합동과 닮음 등)

 VS 한 개의 도형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



1. 두 개 이상에서 사용되는 용어

 1) 대응변, 대응각

 2) “응”자가 있습니다.



2. 한 개의 도형 내에서 사용되는 용어

 1) 대변, 대각

 2) “응”자가 없습니다.








직각삼각형의 합동이 숨겨진 대표적인 그림들


이 내용은 위의 동영상 강의

뒷 부분을 이용해주세요~

글로는 설명이 힘들어요~ ^^*







자~ 그럼 우리 학생들

지루하더라도 힘내서 열공하시구요~

다음 시간에 또 만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