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와 조건의 부정
오늘은
명제와 조건의 부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명제와 조건의 부정에서
"부정"이라는 단어는 정확히 무슨 의미일까요?
이것이 오늘 수업의 핵심입니다~!!!!
어떤 조건이나 명제를 p라고 했을 때,
이것에 대한 부정의 표기는
한국어로는
p가 아니다
영어로는
not P
수학언어로는
~p
입니다.
그런데, "부정"이라는 말의 의미를
"반대의 것"이라는 의미로 생각하면
엄청난 혼돈을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음수(음의 실수)의 반대의 것은 양수입니다.
그런데, "음수"의 부정은 안타깝게도
1. 복소수의 범위에서는 "양수와 영과 허수"이고
2. 실수의 범위에서는 "양수와 영"
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생각하면
우리 학생들의 혼돈을 예방할 수 있을까요?
그 비법은 바로
부정을
"반대의 것"이 아닌
"p가 아닌 모든 것"이라고
생각의 틀을 고정시키고
문제를 풀이
이 생각의 틀을 연습하는 것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강의를 참조하시고
포스팅을 잘 이용하셨다면
주변에 추천과 "좋아요", "공감", "유트브 응원댓글" 등을
부탁드립니다~~~^^
<<명제와 조건의 부정 2018년 강의 보기>>
'● Documents for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원추출과 비복원추출 (연속하여 뽑는 경우의 확률) (중등확률) (0) | 2018.08.06 |
---|---|
명제 p이면 q이다 2018년 (0) | 2018.08.06 |
집합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표현 (0) | 2018.07.28 |
곱의 법칙에 의한 확률 (중등) (0) | 2018.07.28 |
합의 법칙에 의한 확률 (중등) (0) | 2018.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