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조건과 충분조건







오늘은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먼저 인강으로 들으실 학생들과

교재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올린 후에 포스팅을 이어갈게요~







<<인강 듣기>>








<<교재 다운로드>>


270-필요조건과 충분조건-학생용.pdf












이제 여기부터는

포스팅을 다시 이어갑니다~^^*





p이면 q이다

라는 명제가 참일 때

이 명제가 성립하기 위하여




p는 충분한 조건이다 (충분조건)

q는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필요조건)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우리 말로는 "유리수"같은 용어처럼

최초의 설정한 용어가

와닿는 말과는 조금 먼 경우인데요

이런 경우에는

용어를 그냥 암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공부방법입니다.












((암기방법))

거의  모든 참고서에 나오는

대한민국  대표암기방법입니다~!!!

(당췌 누가 시작했는지 아무도 모름 *^^*)


참인 명제 p이면 q이다  에서  ( p → q )

p는 q에 대해 충분조건 (출발~~~ 화살표가...)

q는 p이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 (피난다....화살표 맞아서...)










그리고 이 때,

두 조건의 진리집합을 P, Q라 하면

P는 Q의 부분집합이 됩니다.







두 조건이 서로의 필요조건도 되고 충분조건도 될 때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하며


이 때는 두 조건에 대한

진리집합이 같아지게 됩니다. (P=Q)







+ Recent posts